인공지능(AI) 광고 영상 제작 사례와 논란
인공지능(AI) 광고 영상 제작 사례와 논란
서론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은 광고 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AI는 광고 영상 제작 과정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 국내외 AI 광고 영상 제작 사례를 살펴보고, AI가 광고 제작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그리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논란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AI 광고 영상 제작 사례
국내 사례
1. 대홍기획의 생성형 AI 활용 광고 1 2 국내 광고 대행사인 대홍기획은 영상 제작 전 과정에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를 선보였습니다. 이는 국내 최초로 생성형 AI가 광고 제작에 전면적으로 활용된 사례입니다. 대홍기획은 생성형 AI를 광고 기획, 촬영, 편집 등 모든 제작 단계에 걸쳐 활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AI는 광고 콘셉트 기획 및 스토리보드 제작, 촬영 장소 선정, 모델 캐스팅, 편집 및 후반 작업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업무를 수행했습니다.
2. LGU+의 AI 제작 TV 광고 3 LGU+는 국내 최초로 AI가 100% 제작한 TV 광고를 선보였습니다. 이 광고는 AI가 시나리오 작성, 이미지 생성, 편집 등 모든 제작 과정을 담당했습니다. LGU+는 AI를 통해 광고 제작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다양한 버전의 광고를 빠르게 제작할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해외 사례
1. 브이캣(Vcat)의 AI 기반 광고 콘텐츠 제작 플랫폼 4 미국의 브이캣(Vcat)은 AI와 자동화 기술을 활용하여 광고 콘텐츠 제작 장벽을 낮춘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이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는 텍스트를 입력하기만 하면 AI가 자동으로 영상을 생성해줍니다. 특히 소셜 미디어용 숏폼 영상 제작에 특화되어 있어, 누구나 쉽게 광고 영상을 제작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2.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 사례 분석 5 해외에서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버거킹은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버거킹이 맛있어? 맥도날드가 맛있어?"라는 질문에 답하는 광고를 제작했습니다. 또한, ABL 생명은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광고 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광고에 활용하는 과정을 공개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생성형 AI가 광고 콘텐츠 제작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5.
AI 영상 제작 기술의 다양한 분야 확산 6
AI 영상 제작 기술은 광고 분야뿐만 아니라 영화, 교육, 뉴스,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는 AI로 만든 영화가 상을 받았고, 부산국제인공지능영화제는 AI 영화 공모전을 개최했습니다. 교육 분야에서는 AI를 활용하여 학습 자료를 제작하거나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고 있으며, 뉴스 및 미디어 분야에서는 AI가 기사 작성, 영상 편집, 자막 생성 등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AI 영상 제작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어 내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광범위하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AI 광고 영상 제작 사례에서 볼 수 있듯, AI는 광고 제작의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인 맞춤형 광고 콘텐츠 제작을 가능하게 하여 소비자들에게 더욱 관련성 높은 광고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34.
AI 광고 영상 제작의 논란
AI 광고 영상 제작은 여러 가지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1. 일자리 감소 AI가 광고 제작 과정에 투입되면서 기존 광고 제작자들의 일자리가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7. 골드만삭스는 AI 자동화로 인해 미국의 전체 직업군의 약 50%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했으며, 이는 광고 산업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단순 작업이나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인력은 AI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광고 전문가들은 AI 및 자동화 관련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창의성과 전략적 사고 능력을 개발해야 합니다.
2. 저작권 문제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저작권 귀속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입니다. AI가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원본 데이터의 저작권자와 AI 개발자, 그리고 AI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제작한 사람 중 누구에게 저작권이 있는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이는 AI 광고 영상 제작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저작권 분쟁 발생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3. 윤리적 문제 AI가 생성한 광고 영상이 소비자를 기만하거나 조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가 개인의 취향이나 성향을 분석하여 특정 정치적 성향을 가진 사람들에게만 특정 후보자를 지지하는 광고를 노출하거나, 건강에 해로운 제품을 특정 질병을 가진 사람들에게 집중적으로 광고할 수 있습니다. 또한, AI가 생성한 가짜 뉴스나 허위 정보가 광고에 사용될 경우, 소비자들은 잘못된 정보에 근거하여 구매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이는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4. 창의성 훼손 AI가 광고 제작을 자동화하면서 인간의 창의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AI는 기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기 때문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거나 독창적인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광고의 다양성을 저해하고, 광고 산업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AI 기반 광고 플랫폼 확산
브이캣과 같이 AI 기반 광고 제작 플랫폼이 확산되면서 누구나 쉽게 광고 영상을 제작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4. 이는 중소기업이나 개인 사업자의 광고 제작 접근성을 높이고, 광고 시장의 경쟁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또한, AI는 개인의 관심사와 선호도를 분석하여 맞춤형 광고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는 광고 효율을 높이고, 소비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AI는 실시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황에 맞는 광고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날씨나 교통 상황에 따라 광고 내용을 변경하거나, 소비자의 반응에 따라 광고를 실시간으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결론
AI는 광고 영상 제작 과정을 혁신하고 있으며, 광고 산업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AI 광고 영상 제작은 일자리 감소, 저작권 문제, 윤리적 문제 등 다양한 논란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AI 광고 영상 제작 기술이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특히, AI 기술 개발과 활용에 있어 책임감을 갖고 윤리적인 문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이를 통해 AI 광고가 소비자와 사회 전체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Works cited
1. PR > NEWS > 대홍기획, 영상 제작 전 과정 '생성형 AI' 활용한 광고 첫 선, accessed January 8, 2025, https://www.daehong.com/pr/news/19/259
2. 대홍기획, 광고영상 제작 전 과정에 국내 첫 생성형 AI 활용 - 한국경제, accessed January 8, 2025,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1179808Y
3. LGU+, 국내 최초 AI가 100% 제작한 TV광고 온에어 - AI타임스, accessed January 8, 2025,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0002
4. [헬로AI] AI·자동화로 광고 콘텐츠 제작 장벽 무너뜨린 브이캣 - 헬로티, accessed January 8, 2025, https://www.hellot.net/news/article.html?no=89637
5. 광고에서의 생성 AI 활용 실무사례 모음집 - YouTube, accessed January 8, 2025, https://www.youtube.com/watch?v=r7zwMChbOFc
6. 생성형 AI 영상 제작: 기업의 광고, 마케팅, 영화제 사례 - HONGS LAB, accessed January 8, 2025, https://sshong.com/blog/17089
7. ai가 만든 광고, 여기 다 모였다! - 패스트캠퍼스 미디어, accessed January 8, 2025, https://media.fastcampus.co.kr/knowledge/aiad1/